회사로고

뇌파분석

Model No. : T3T4
뉴로피드백을 수행함에 있어서, 주요 20개 영역의 뇌파 분석과 뇌기능 평가는 최적의 훈련 성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영역별 뇌기능 이해와 뇌작동의 이완, 각성, 활성 상태의 평가는 오작동하는 뇌기능을 재정비하기 위한 기본 사항입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뇌파분석 소개

뇌는 약 2,000여개의 뉴런 집단과 우주의 별만큼이나 많은 시냅스에 의해 작동되는 인체의 가장 복잡하고 거대한 공장입니다. 정신활동은 유전적, 환경적 요소나 위협적인 사건 또는 사고와 관련되어 주요 뇌기능의 활성, 각성, 이완 상태가 변화되어집니다. 잘못 학습되거나 오작동 하고 있는 뇌기능성을 심도있게 이해할 수 있는 뇌파 분석, 평가 교육입니다.

주요 특징

측두엽 Disconnect 분석_평가

트라우마Trauma, 무뚝뚝함, 잦은 화, 분노 표출을 평가합니다.
편도체의 과도하거나 예민한 활동은 무의식 또는 잠재의식에 각인된 뇌의 비상 상태를 표현합니다.
측두엽은 그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창입니다. 묻지마 폭행, 자기 학대, 무표정한 얼굴, 차거운 감성, 잦은 분노는 억압된 감정의 표출입니다.

측두엽 Hot Temporal 분석_평가

켜켜이 쌓인 억압된 스트레스는 한국인의 한과 홧병으로 표현됩니다.
성장기 애착문제, 강압적 훈육, 배우자 폭행이나 무시, 학폭, 직장, 직업과 관련된 장기간 동안 억압된 스트레스(화) 누적은 강박, 집착, 고착된 사고와 같은 신경계 오작동 증상의 주 요인 중 하나입니다.

좌우 영역별 알파파, 베타파의 균형 관계 평가

뇌는 좌우반구의 조화로운 협응이 잘 유지될 때 최적 수행능력을 발휘합니다. 불안, 강박적 사고에 휘둘리는 신경계는 수행력을 감퇴시키는 주요인입니다. 과민하거나 과도한 활성 상태는 뇌피로를 증가시키며, 수행능력을 저하시키는 뇌에너지 낭비의 근원이 됩니다.

뇌 중앙 영역의 전대상회 활성상태 평가

자기 감찰, 반복되는 강박적 사고, 강박적 행동, 고집불통, 집착, 집념, 7전8기, 신념 등은 자아 완성의 실패와 성공을 판가름합니다. 누적된 스트레스가 관리되지 못할 경우 전대상회(이마 중앙 윗쪽)는 과활성화 되며, 아집과 옹고집, 강박증과 같은 피폐한 성격으로 변화됩니다.

좌우반구의 씽크로니, 협응성, 일관성 평가

불안, 강박적 증상은 좌우반구의 협응성, 일관성을 저조하게 합니다. 저속파의 낮은 코히어런스는 기억력 저하, 왜곡된 성격이나 성향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후두엽, 두정엽에서 고속파의 높은 코히어런스는 학습장애, 수행능력, 예술능력, 경기력의 저조함, 자폐, 발달장애를 파악하는 요소가 될 수 있으며, 특정 영역간의 수행 장애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개안 상태의 각성, 활성상태 평가

학습능력, 수행능력, 예술능력, 경기력 등은 주요 피질의 이완, 각성, 활성상태에 따라서 영향을 받게 됩니다. 폐안, 개안 상태의 활성 정도를 판단하여 ADD, ADHD 증후군과 관련된 뇌 기능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인지 기능 향상을 위한 훈련 프로토콜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전두엽, 전전두엽의 활성상태 평가

ADHD는 Slow파와 Fast파의 과도한 활성과 Mid파의 저조한 활성이 특징입니다. 너무 빠르거나 지나친 정신활동은 안정된 인지기능을 방해하며 충동적 성향의 주 원인이 됩니다. 불필요한 에너지가 낭비되는 과도한 활동성의 안정을 위한 훈련이 요구됩니다.

세부내용

목록
magnifiercrosschevron-downchevron-down-circle